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 도심 활보한 혐중시위…원색적 욕설에 몸 피한 中관광객

by 비아무기 2025. 9. 23.
반응형
📢 혐오와 <span class="important-word">음모론</span>이 점령한 거리: <span class="important-word">서울 도심</span> 혐중시위가 남긴 불안과 과제
사진:연합뉴스

📢 혐오와 음모론이 점령한 거리: 서울 도심 혐중시위가 남긴 불안과 과제

세계 각국의 관광객으로 북적이는 활기찬 도심의 풍경에, 갑작스러운 불협화음이 끼어들었다. 지난 23일 저녁, 서울 명동 인근에서 '민초결사대' 등 극우 성향 단체가 벌인 혐오 시위는, 자유로운 표현의 권리와 공공의 평온 사이의 오랜 긴장을 다시 한번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단순히 정치적 주장을 넘어 음모론혐오 표현으로 가득 찬 이들의 행진은, 상인시민, 그리고 외국인 관광객에게 불안과 공포의 그림자를 드리웠다.

🗣️ 도심을 덮친 혐오의 목소리: '가짜 뉴스'와 음모론

이날 시위의 주요 주장은 음모론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참가자들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각국의 부정선거중국이 개입했다는 주장을 펼치며, 지난 대통령 선거조차 무효라고 외쳤다. 이러한 사실관계가 불분명한 주장은 단순한 정치적 견해를 넘어, 사회적 불신분열을 조장하는 심각한 가짜 뉴스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시위 현장에서 터져 나온 혐오 표현이었다. '세계가 중국을 싫어한다'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다니거나, 사진을 찍는 중국인 관광객을 향해 'CCP 아웃'과 같은 욕설을 쏟아내는 모습은, 국제적 도시의 품격을 훼손하는 것은 물론, 특정 집단을 향한 노골적인 혐오차별을 드러내는 행위였다.

😨 안전지대가 사라진 거리: 불안을 호소하는 상인과 시민들

이번 시위가 특히 문제시되는 이유는, 그 파장이 단순히 정치적 논쟁에 그치지 않고 일상생활에 깊숙이 침투했기 때문이다. 명동중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곳 중 하나이며, 이 지역의 상권은 그들의 방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혐중 시위가 연이어 발생하자, 명동의 상인들은 영업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했다. 시위대와 마주친 중국인 여성 두 명이 위축된 채 황급히 자리를 피하고, '가짜 뉴스를 멈추라'고 항의하던 여성이 언쟁을 벌이는 모습은, 혐오 표현이 개인에게 얼마나 큰 위협과 공포로 다가오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공공 장소가 누군가에게는 표현의 자유를 위한 공간일지라도, 다른 누군가에게는 불안모욕감을 느끼는 장소가 될 수 있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 표현의 자유와 공공의 평온 사이의 긴장

민주주의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는 헌법이 보장하는 중요한 가치이다. 그러나 모든 표현이 무한정으로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타인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공공의 평온을 해치는 행위에 대해서는 사회적 제한이 필요하다. 경찰이 시위대의 명동 진입을 제한하고 불필요한 마찰 유발 행위를 금지한 것은, 이러한 가치 충돌 속에서 공공의 안전을 우선시한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일부 시위대는 이에 대해 "중국 경찰 물러나라"는 등의 비난을 쏟아내며 법 집행을 왜곡하고 조롱했다. 이는 표현의 자유라는 명분 뒤에 숨어, 자신들의 행위가 타인에게 미치는 피해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으려는 무책임한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 대림동으로 옮겨간 시위, 혐오의 확산

경찰의 통제로 명동에서의 활동이 어려워지자, 시위 단체들은 영등포구 대림동 차이나타운 등으로 활동 무대를 옮겨가고 있다. 이는 혐오 시위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다양한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심각한 경고다. 대림동은 많은 재한 중국인들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삶의 터전이다. 이곳에서의 혐오 시위는 단순히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을 넘어, 특정 민족 공동체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차별로 인식될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보호와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라는 우리 사회의 당면 과제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위이다.

💡 결론: 민주주의의 성숙성을 시험하는 시대의 과제

서울 도심에서 벌어진 혐중 시위는 우리 사회가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인 표현의 자유를 어떻게 성숙하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민주주의는 단순히 원하는 목소리를 내는 것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목소리가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지키는 책임까지 포함한다. 혐오와 음모론에 기반한 시위가 공공 장소를 위협하고, 시민들의 일상을 침해하는 현상은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문제다. 이제 우리 사회는 법과 제도의 틀 안에서 혐오 표현을 명확히 규정하고, 공동체의 평화안전을 지키기 위한 구체적인 해법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혐중시위
#혐오표현
#명동
#표현의자유
#공공의안전
#음모론
#극우단체
#서울도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