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올가을 '라니냐' 발생할 듯…한국은 기온 높고 비 많은 경향

by 비아무기 2025. 9. 2.
반응형

가을 '라니냐' 발생 확률 55%... 올가을·겨울 날씨, 어떻게 변할까? 🍂


1. WMO, 라니냐 발생 확률 55%로 상향 📈

최근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세계기상기구(WMO)가 올가을 기후에 대한 중요한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WMO는 오늘(2일) 발표한 엘니뇨·라니냐 전망에서 9월부터 11월까지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을 55%로 제시했습니다.

라니냐도 엘니뇨도 아닌 '중립' 상태가 유지될 확률은 45%로, 라니냐 발생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 것입니다. 이 전망은 기간을 10월에서 12월로 확장하면 라니냐 발생 확률이 60%까지 소폭 상승하며, 중립 상태 유지 확률은 40%로 낮아집니다.


2. 라니냐, 단순한 현상이 아닌 전 지구적 기후 변화 🌍

라니냐는 '여자아이'라는 뜻의 스페인어로, 적도 부근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낮은 상태가 5개월 이상 지속될 때를 의미합니다. 이는 반대 현상인 엘니뇨('남자아이')와 함께 자연스러운 기후 변동의 일부입니다.

하지만 이 두 현상은 태평양을 넘어 전 세계의 대기-해양 순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특정 지역의 날씨 패턴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3. 라니냐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은? 🌡️💧

라니냐는 우리나라의 날씨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9월에서 10월 사이에 라니냐가 발생하면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는 열대 중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면서 북태평양 지역에 대규모 고기압성 순환이 발달하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로 고온다습한 남풍이 자주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11월과 12월에 라니냐가 발생하면 평년보다 춥고 강수가 적을 때가 많았습니다. 라니냐의 영향으로 일본 동쪽에 저기압성 순환이 발달하면서 한반도로 차가운 북풍이 불어왔기 때문입니다.


4. 예측 불확실성, '나비효과'에 대비해야 할 때 🦋

하지만 최근에는 북극 해빙 면적이나 인도양·대서양 해수면 온도 등 다른 기후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라니냐의 영향이 과거와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상청 역시 "라니냐 관련 예측 불확실성이 아직 크다"고 밝히며 지속적인 감시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자연 현상인 라니냐가 가져올 수 있는 기후 변화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습니다.

과연 올가을과 겨울은 라니냐의 영향으로 어떤 모습을 보일까요?


관련 해시태그

#라니냐 #기후변화 #WMO #날씨예측 #가을날씨 #이상기후 #기상청 #나비효과
반응형